본문 바로가기
자연환경보호

세제는 피부에 유해할까?

by SilenceGoHigh 2023. 5. 18.
반응형

습진이라 하면 주부습진을 떠오르실 것입니다. 습진으로 고생해 보신 적 있나요? 손에 빨간 두드러기 같은 게 올라오면서 따갑고 가렵고, 심해지면 손의 피부가 껍질처럼 벗겨지더라고요. 저는 두 번 생겼었습니다. 요리학원에 다닐 때였는데요. 요리하면서 중간중간에 맨손으로 설거지를 했었는데 얼마 가지 않아 습진이 올라왔었습니다. 병원을 다니며 치료를 다 하고 몇 년 후에 손 씻기가 이슈가 되면서 비누로 손을 자주 씻었는데요. 이때도 습진이 생겨서 손에 물이 닿지 않도록 조심해서 생활했습니다. 물과 세제 중 습진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제의 종류

  • 의류 세탁용: 효소세제, 항균세제, 유연제 함유 세제 등
  • 인체세정용: 비누, 샴푸, 바디워시 등
  • 욕실용: 변기세제, 욕조 클리너 
  • 주방용: 1종, 2종, 3종 

세제의 역할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합니다. 오염물질이 수용성(친수성)일 경우 물에 담그면 녹아 나오지만 지용성(소수성)일 때는 물에 담가도 녹아 나오지 않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세제입니다.

세제의 작용

세제분자에는 수용성과 지용성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을 계면활성제라고 합니다. 오염물질을 세제분자의 지용성 부분이 둘러싸면 수용성 부분이 물에 녹으면서 오염물질이 표면에서 탈락이 됩니다. 

세제의 유해성

  • 인체에 미치는 영향: 세제는 지용성물질을 녹입니다. 피부에 오랜 시간 동안 세제가  노출되면 피부 표면의 세포벽과 지질층이 파괴되어 습진 같은 피부질환이 유발됩니다. 또 어린아이들이 모르고 세제를 먹을 경우 계면활성제 성분이 혈액 내로 들어가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세제의 이름이나 종류를 알아두고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공기 중으로 휘발한 세제는 호흡기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 환경에 미치는 영향: 계면활성제가 수중으로 흘러들어 가면 거품을 만들어냅니다. 거품으로 물속에 산소가 들어갈 수 없게 막고  햇빛을 차단하여 플랑크톤이 번식하기 힘든 환경이 됩니다. 

안전한 세제사용

  • 표준사용량을 지킵니다. 
  • 피부 자극을 막기 위해 고무장갑 사용합니다.
  • 아이 손에 닿지 않고 식품으로 오해하지 않도록 보관에 유의합니다.

 

 

 

 

반응형

댓글